티스토리 뷰
노인장기요양 급여종류, 본인부담금, 감경 기준 완벽 정리
헤이즈@ 2024. 8. 20. 13:20
우리 사회가 점점 고령화되면서 노인 장기요양에 대한 관심이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. ‘노인 장기요양’은 노인들이 일상생활을 원활히 영위할 수 있도록 돕는 다양한 서비스와 지원을 포함하고 있습니다. 본 포스팅에서는 2024년 기준의 노인 장기요양 보험 본인부담금 및 감경 정보에 대해 자세히 소개해 드리겠습니다. 각 급여 종류와 본인부담금, 그리고 감경 기준까지 포괄적으로 다뤄보겠습니다.
노인 장기요양 급여종류
노인 장기요양은 크게 재가급여와 시설급여로 나눌 수 있습니다. 재가급여는 방문요양, 방문목욕, 인지활동형 방문요양(치매수급자), 방문간호 등을 포함하며, 시설급여는 노인요양시설(요양원)과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을 포함합니다. 이러한 급여는 노인분들이 자택 또는 요양시설에서 필요한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.
재가급여 월 한도액
재가급여의 월 한도액은 장기요양 등급에 따라 달라집니다. 2024년 기준으로, 각 등급별 월 한도액은 다음과 같습니다:
- 1등급 : 2,069,900원
- 2등급 : 1,869,600원
- 3등급 : 1,455,800원
- 4등급 : 1,341,800원
- 5등급 : 1,151,600원
- 인지지원등 : 643,700원
이 금액은 복지용구 지원금액과는 별도로 설정됩니다.
재가급여 방문요양 서비스 이용시간 및 본인부담금
방문요양 서비스의 이용 시간과 본인부담금은 다음과 같습니다:
- 1등급 : 일일 4시간, 월 27일 이용, 본인부담 약 25만원 내외
- 2등급 : 일일 4시간, 월 24일 이용, 본인부담 약 22만원 내외
- 3등급 : 일일 3시간, 월 26일 이용, 본인부담 약 20만원 내외
- 4등급 : 일일 3시간, 월 24일 이용, 본인부담 약 18만원 내외
- 5등급 : 일일 3시간, 월 23일 이용, 본인부담 약 16만원 내외
본인부담금은 기초생활수급자는 전액 면제되며, 본인부담금 감경은 일반 본인부담금의 50%로 적용됩니다.
재가급여 방문목욕 급여비용
방문목욕 서비스의 비용은 다음과 같습니다:
- 차량내 목욕 : 84,670원
- 가정내 목욕 : 76,340원
- 차량 미이용 : 47,670원
이 비용은 방문당 기준입니다.
시설급여 본인부담금
시설급여는 요양원에 입소할 경우의 본인부담금으로, 요양보호사의 인원에 따라 다릅니다.
- 1등급 : 일일 84,240원, 월 2,527,200원, 본인부담 약 50만원
- 2등급 : 일일 78,150원, 월 2,344,500원, 본인부담 약 47만원
- 3~5등급 : 일일 73,800원, 월 2,214,000원, 본인부담 약 44만원
- 1등급 : 일일 80,630원, 월 2,418,900원, 본인부담 약 48만원
- 2등급 : 일일 74,810원, 월 2,244,300원, 본인부담 약 45만원
- 3~5등급 : 일일 68,990원, 월 2,069,700원, 본인부담 약 41만원
요양보호사가 입소자 2.3명당 1명 이상인 시설
요양보호사가 입소자 2.3명당 1명 미인 시설
장기요양등급 유효기간
장기요양등급의 유효기간은 다음과 같습니다:
- 1등급 : 4년
- 2등급~4등급 : 3년
- 5등급~인지지원등급 : 2년
노인 장기요양 복지용구 월한도액 및 구입방법
복지용구는 연간 160만원까지 본인부담금 15%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. 복지용구에는 지팡이, 성인용 보행기, 미끄럼방지용품, 안전손잡이, 수동휠체어, 욕창방지매트리스 등이 포함됩니다.
본인부담금 감경 기준 및 대상자
본인부담금 감경 기준은 건강보험료에 따라 다릅니다:
- 60% 감경 : 지역 가입자 건강보험료 19,780원 이하 또는 직장 가입자 72,600원 이하
- 40% 감경 : 지역 가입자 건강보험료 19,780원 초과 74,660원 이하 또는 직장 가입자 94,530원 초과 122만원 이하
본인부담금 감경 신청방법
본인부담금 감경은 국민건강보험공단 이 직권으로 적용합니다. 감경신청서는 여기서 다운로드 가능하며, 관할 운영센터에서 접수 후 14일 이내 처리 결과를 통보받게 됩니다.
감경 적용 시 본인부담률
감경 적용 시 본인부담률은 다음과 같습니다:
- 재가급여 : 본인 6%, 공단 94%
- 시설급여 : 본인 8%, 공단 92%
- 재가급여 : 본인 9%, 공단 91%
- 시설급여 : 본인 12%, 공단 88%
60% 감경자
40% 감경자
노인 장기요양은 우리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제도입니다. 다양한 급여 종류와 본인부담금, 감경 기준을 이해하고 활용함으로써, 필요한 지원을 보다 효과적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. 이번 포스팅이 노인 장기요양에 대한 이해를 돕는 데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.
다운로드